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4편 : ISFP, ENFP, INFP
본문 바로가기

MBTI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4편 : ISFP, ENFP, INFP




-------광고 연속 게제 방지 테이블-------
아래로 스크롤 하여 본문을 읽어주세요


    제 뇌피셜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4편 : ISFP, ENFP, INFP

    전편들을 보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서론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보여드린다는 점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ESTJ유형은 후천적 성격형성 원인편(생존과 성격 : ESTJ유형)에서 가장 먼저 다룬 유형이라고 했습니다. 해당 편에서는 성격형성에 영향을 줬을만한 요소들을 위주로 다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들의 특성에 대해서는 다소 설명이 부족할 수 밖에 없었다고 했었죠.
    이들은 ES그룹이면서 EJ그룹이고, TJ그룹 중 STJ그룹에 속하는 유형입니다.

    ES그룹 : 극외향
    EJ그룹 : 외부적 (일적인)활동에 능함
    TJ그룹 - STJ그룹 : 사고형(T)

    이들은 극외향성을 띄며, 외부적 활동 중 특히 일적인 활동에 능한 기질이 있죠. 그리고 사고형(TJ그룹)에 속합니다. TJ그룹에 대한 설명은 포스팅 "생존과 성격 1편" : STJ그룹에 설명을 해놨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들의 관점에서 봤을 때 다른 유형들이 어떻게 느껴질지 각 지표 중심적으로 3편에 이어 살펴봅시다.


    1. ESTJ관점에서 본 ISFP

    4편으로 넘어오니까, 이제 극단적으로 다른 유형들이 많이 출몰하죠. 이번 유형은 ISFP가 되겠습니다. 이들도 핵심적인 차이를 보자면, 바로 사고 본능의 차이죠. 지표 중심적으로 봤을때는 굉장히 다른 유형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의 주제는 ESTJ유형의 관점에서 다른 유형들을 인식할때 어떠한지를 따지는 거니깐, 그런면에서 볼때 ISFP는 모든 유형에게 꽤나 괜찮은 인식을 줄 수 있는 유형입니다.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으로 ISFP는 SP그룹 중 가장 본능과 거리가 먼 유형이라고 봅니다. SP그룹 안에서 그렇다는 거에요. 다른 많은 유형들과 비교했을때는 여전히 본능과 가까운 유형이라고 봅니다. 바로 관계지향성 지표 F의 영향인거죠. (이 유형은 각 네가지 지표가 서로 상호강화적인 특성면에서 충돌이 이루어지는데 이 편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들은 IS그룹이면서 FP그룹에 속하는 유형입니다. 외향적인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원활한 면이 있구요. 순수(FP그룹)한 면이 있는 유형이죠. ESTJ유형 관점에서는 일적인 관계로는 별로지만 개인적인 관계로서는 꽤나 괜찮은 유형으로 인식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ESTJ관점에서 본 ENFP

    자, 이번에도 정말 극과 극의 다른 성향을 보이는 ENFP입니다. 이들의 핵심적 차이도 ENTP(3편 : INFJ, ENTP, INTP, ESFP 소제목2 참조)때처럼 두가지나 존재합니다. 정신세계행동양식 모두 극과 극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일단 주기능이 ESTJ는 사고(TJ그룹)이구요. ENFP는 직관인식(NP그룹)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러한 유형별 관점편을 주욱 이어서 본 분들이시라면, 꼭 지표가 다르다고 해서 그 상호 관계가 좋지 않다고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셨을 겁니다. 물론, 일적인 환경에서는 잘 맞지 않아요. ESTJ유형이 이 일적인 환경에 친숙한 편이구요. ENFP는 반대죠.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데 자연스러운 사람들이란 겁니다. 이 개인적인 관계, 특히 성인이 된 이후 시점에 있어서 처음 만난 사이라면 좀 애매한 관계가 될 수 있어요. 부딪힐 일도 잘 없지만 친해질 확률도 적은거죠. ESTJ유형의 관점에서 ENFP는 뭔가 순수하지만(FP그룹) 그 속을 알 수없는(NF그룹) 그런 사람으로 인식될 확률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러한 느낌을 ‘4차원적이다’라고 표현하지만 이 ENFP를 그렇게 인식할 확률이 높은 그룹들은, 필자는, 대체로 ST그룹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른 유형들도 그렇게 인식할 수 있지만 그 정도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잖아요? 아무튼 뭐 그렇다는겁니다. ESTJ유형이 P유형들을 볼때 아이들의 특성을 투영하기 쉬운데, 이들(ENFP)에게 아이들 중에서도 일반적인 분류보다는 조금 특이한 분류의 아이가 투영되어 보이는거죠.

    반응형

    3. ESTJ관점에서 본 INFP

    자 ESTJ유형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다른 마지막 유형은 INFP입니다. 네가지 지표가 모두 다른 성격면에서 정 반대편에 서 있는 유형이죠. ENFP와 같이, 정신세계와 행동양식이 다른데다가 외향/내향성의 차이까지 극과 극인 유형이죠. 한쪽은 극 외향, 또 다른 한쪽은 극내향(주석1 참조). 1편부터 보신 분들은 처음보는 경우가 아니죠? 애초에 사회적 관계(성인 이후 시점)에서는 만남(접촉)자체가 잘 이루어지기 힘든 유형들이에요. 일적인 관계에서는 ESTJ유형도 꽤나 바쁜 상황이기 때문에 한사람, 한사람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운게 팩트이구요. 사적인 관계에서는 아예 기회가 거의 없는 수준이죠. 만약에 이 두 유형이 친구관계가 될 수 있다고 한다면 학생(초,중,고) 때가 유일한 기회일 확률이 높아요. 이러한 상황을 가정해야만 논할 수 있을 정도의 반대성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ESTJ유형이 볼때 INFP유형의 친구는 ENFP(소제목2)와 유사한 면을 볼 수 있지만 속을 알 수 없다는 특성이 더 강해지는거에요. 극내향성(IN그룹)으로도 설명할 수 있지만 필자는 I지표가 N지표를 강화시킨다고 본다고 했잖아요. 더욱더 자신만의 내면세계에 집중하고 있는 유형이라는 거죠. 물론 이러한 극내향성 유형들은 친구관계에 있어서, 친한 정도에 따라 상대방의 인식이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지만 경우의 수를 다 따져보기에는 양이 너무 방대해지니깐요. 요정도로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4. ESTJ관점에서 본 ESTJ (외전: 같은 유형)

    필자가 이 유형별 관점(ESTJ)편을 진행하면서 총 4편으로 구성하려고 보니깐, 16가지 유형이 4유형씩 나눠져야 되는데 한 자리가 비는거에요. 바보같이 같은 유형을 생각 못했던거죠. ISTJ관점편에서부터는 같은 유형을 먼저 보고 다른 유형을 살펴보는 루틴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자, 1편(ISTJ, ENTJ, INTJ, ESFJ)에서 ENTJ유형(소제목2)을 언급할때 오히려 나머지 세가지 지표가 같아서 관계면에서 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고 했었는데요. 그렇다면, 네가지 지표가 모두 같으면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세상에 그런게 어딨습니까. 늘 필자가 말했듯,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어요. 정답은 없죠. 그런데 대체로 일적인 관계에서는 일종의 티키타카(구기종목 용어)라고 하죠? 그런게 잘 될 확률이 높아요. 관점이나 사고방식이 아주 유사하니까요. 이러한 면에서는 다른 네가지 지표가 같은 유형들 중에서 TJ그룹들이 일적인 환경에서 상호 이해관계가 기가 막히게 좋을 확률이 높죠. ENTJ와 ENTJ, ISTJ와 ISTJ 뭐 이런 느낌이에요. 하지만, 개인적인 관계에서 이 TJ그룹들은 서로에 대해 무심할 확률이 높아요. 전혀 생각을 안한다는게 아니라요. 딱히 간섭을 안한다는 겁니다. 물론 그 관계가 무슨 관계이냐에 따라 또 다르지만요. 그것까지 따지면 또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가 생기니까요. 세세한 경우까지는 독자 분들이 각자 사유하시는 걸로 타협하자구요.(물론 먼 훗날에 제가 그 내용들을 다루게 될 수도 있지만 기약은 못합니다.)


    자 오늘은 여기까지구요. ESTJ유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다양한 다른 유형들 마지막 편이었습니다. 이런 유형별 관점편은 또 언젠가 시작될 예정이구요. 그 때는 ISTJ유형의 관점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광고와 비난만 아니면 어떠한 댓글도 환영입니다. 논리정연한 멘트면 더욱 좋구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주석

    1- 극외향, 극내향
    사실, 이 표현은 제가 생각해낸 것은 아니구요. 유튜브의 "길 인간학 연구소"라는 채널에서 나온 표현을 인용한 것입니다.

     
     
     
     
     
     


    관련 포스팅이 궁금하다면?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1편 : ISTJ, ENTJ, INTJ, ESFJ

    제 뇌피셜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1편 : ISTJ, ENTJ, INTJ, ESFJ 후천적 성격형성 원인편(생존과 성격 : ESTJ유형)에서 가장 먼저 다룬

    soundcollec-tion.tistory.com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2편 : ISFJ, ESTP, ISTP, ENFJ

    제 뇌피셜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2편 : ISFJ, ESTP, ISTP, ENFJ 1편을 보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서론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보여드

    soundcollec-tion.tistory.com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3편 : INFJ, ENTP, INTP, ESFP

    제 뇌피셜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ESTJ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유형들 3편 : INFJ, ENTP, INTP, ESFP 전편들을 보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서론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보

    soundcollec-ti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