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간관계

(6)
인간관계 6편 - 부부 관계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간관계 6편 - 부부 관계 부제: 예비 부부들에게 자 이제 6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끝으로 인간관계 개념편을 마무리 지을 때가 왔네요. 모든 인간관계에 대해서 주욱 연이어 다루면서 필자도 인간관계에 대한 생각정리를 많이 하게 되어서 스스로에게도 좋은 시간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렇게 관계마다 특징이나 생각할만 요소들이 많은지도 알아보니 체감상 정말 새롭습니다. 그 관계마다 고유의 특성이 있고 개성이 정말 뚜렷한 게 재미난 요소인 것 같습니다. 1. 개념 부부 관계란, 일반적으로 남녀간의 관계이며 동거를 하고 함께 삶을 살아가는 협의의 반려 관계입니다.(주석1참조) 이 부부 관계는 혼인신고를 통해서 기본적으로 법적으로 얽히게 ..
인간관계 5편 - 연인 관계 : 로맨틱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간관계 5편 - 연인 관계 : 로맨틱이번 편은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로맨틱이란 단어를 붙일 수 있는 유일한 관계가 아닐까 하는데요. 광의의 뜻으로 부부관계도 이 관계에 포함, 정의할 수 있구요. 협의의 연인관계는 부부관계랑은 좀 많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개념연인은 각자의 감정과 정서를 공유하며, 감정적으로 서로에게 연결된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연인 관계는 보통 로맨틱한 감정과 성적인 결합을 포함하며, 서로 사랑하고 애정을 나누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 관계는 참 많은 단어들과 연관이 있는데요. 그 중 사랑, 감정(감성), 성적 매력 이 3가지가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죠. 2. 연인 관계의 시..
인간관계 4편 - 사회적 관계 : 이 시대의 사회생활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간관계 4편 - 사회적 관계 : 이 시대의 사회생활 벌써 4편이 되었네요. 이번편에서도 방법론적인 것은 제외하고 개념적인 것을 좀 더 현시대적인 관점에서 다시 보는 전개로 가겠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부닥칠 인간관계, 20대부터 30대, 40대, 50대 등 노년기에 접어들기 전에 해당하는 모든 사람들이 고민하는 사회적 관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때까지 다뤘던 인간관계는 20대 전에 이루어질수 있는 관계였다면, 이번에 다룰 사회적 관계는 성인이 된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관계가 되겠죠. 이런 사회적 관계를 잘 맺고, 잘 이어가는 사람들의 특징이 뭘까요? 바로 이전 포스팅들에서 다뤘던 가족(부모-자식, 형제), ..
인간관계 3편 - 형제 (남매, 자매) 관계 : 부모님들에게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간관계 3편 - 형제 (남매, 자매) 관계 : 부모님들에게 부제 : 부모의 역할과 책임 형제들은 자의가 아닌 타의(부모)에 의해 생겨난 관계이며,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마찬가지로 타의에 의해서 어떻게든 유년기, 청소년기를 함께 보내야만 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죠. 인간관계 1편, 2편보다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생각과 주장이 더 많이 들어갔습니다. 제 생각에 동의할 필요 전혀 없습니다. 그냥 한번 더 다른 관점에서 생각을 해보시고 필자는 좋은 영향이 있었으면 하는 뜻에서 쓰는 글이니깐요. 오해는 없으셨으면 합니다. A. 1차적 개념 a. 생물학적 개념 1편("부모-자식 관계"편 참조)에서와 동일하게 일단 그 관계의 발생원인이 직..
인간관계 2편 - 친구 관계 : 친구란?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인간관계 2편 - 친구 관계 : 친구란?이번 포스팅도 최대한 개념 중심의 전개를 해나가보겠습니다. 서론부분은 가볍게 훑어주시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방법론적인 것은 최대한 배제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생각을 정리하는 용도로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서론지난 포스팅("부모와 자식"편)에서는 1차적인 개념이 우리의 삶에 있어서 꽤나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죠. 왜냐하면, 그 관계 형성은 생물학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거든요. 우리가 태어났기 때문에 그 관계가 발생된거에요. 즉, 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관계라는 거죠. 또 다르게 말하면 자연발생적이죠. 주체의 의지가 없더라도 그 관계가 발생하는겁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일방..
인간관계 1편 - 부모와 자식(자녀) 관계 제 뇌피셜, 주관이 많이 섞여있기 때문에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간관계 1편 - 부모와 자식(자녀) 관계 이번 포스팅은 최대한 개념 중심의 전개를 해나가보겠습니다. 1차적 개념은 가볍게 훑어주시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방법론적인 것은 최대한 배제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생각을 정리하는 용도로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1차적 개념 a. 생물학적 개념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는 일단 그 관계의 발생원인이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생물학적 개념에서는 이들은 혈육관계이며, 그 단어에서 보이듯 피(혈액)로써 얽힌 관계라는 거죠. 이는 친자관계를 의미하며, 인류에게는 가장 친숙한 개념이자 이를 기반으로 진정한 부모 자식간의 관계로 인식, 정의합니다. 이것을 증명하는 방법으로는 흔히 DNA검사가 ..

반응형